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javascript] 3. 연산자 1. 삼항 조건 연산자 세 개의 피연산자를 취할 수 있는 유일한 연산자 맨 앞에 조건문이 들어가고 그 뒤로 물음표(?)와 조건이 true 라면 실행할 식이 물음표 뒤에 들어가며 바로 뒤에 콜론(:)이 들어가고 조건이 false 라면 실행할 식이 마지막에 들어감 if 문의 단축형태로 쓰인다. // 예제 1 const age = 26; const average = (age > 21) ? "Beer" : "Juice"; console.log(average) // "Beer" // 예제 2 const arr1 = []; let text1 = arr1.length === 0 ? "배열이 비어있습니다." : "배열이 비어있지 않습니다."; console.log(text1); // "배열이 비어있습니다." // **.. 2023. 1. 16.
[javascript] 2. 반복문 1. while i의 초기값은 while문 외부에 작성해야 한다. 조건은 false가 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while문은 영원히 반복이 된다. i에게 변화를 주는 건 while문 안에 작성해야 함 let i = 0; while (i < 10) { console.log(i); // 0 1 2 3 4 5 6 7 8 9 } // 예시 let i = 0; let isFun = false; while (isFun === false) { console.log(i); i++; if (i === 30) { isFun = true; } } // 0 1 2 3 4 5 6 ....... 29 2. break / continue break와 continue는 반복문에서 벗어나거나 다음 루프를 돌 수 있게 해주는 역.. 2023. 1. 16.
[javascript] 1. 변수와 상수 1. 변수와 상수 변수, 즉 바뀔 수 있는 값을 말한다.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한번 선언했다면 똑같은 이름으로 다시 선언하지 못한다. let value = 1; console.log(value); // 1 value = 2; console.log(value); // 2 let value = 1; let value = 2; // 이렇게 선언하게 된다면 이미 선언되었다는 아주 새빨간 오류를 콘솔창에서 볼 수 있다. 1-2. const 상수, 한번 선언하고 값이 바뀌지 않는 값을 의미한다. 즉 값은 고정적이다. const a = 1; a = 2; // 위와 같이 작성하게 되면 **"Error: "a" is read-only"** 라는 오류가 발생한다. 상수를 선언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한번 선언했으면 같은 이.. 2021.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