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26 [javascript] 6. 배열 내장 함수 - forEach 너무 재미없게 기술 정리만 해놓다 보면 글을 쓰는 나도 그렇고 혹여나 내 블로그를 봐주시는 감사한 분들에게도 잠시 쉬어가는 TMI ZONE을 만들어보려 한다. 항상 맨 윗줄에 쓸 예정 2월 4일자로 퇴사를 했다. 기분은 좋지만 놀 시기가 아니다. 코딩은 멈출 수 없다. javascript 중에서 배열 내장 함수가 자꾸 헷갈린다. javascript 2. 반복문에서 살짝 다뤘지만 그래도 기본기는 잡으면 잡을수록 좋다는 개인적인 견해가 있어 다시 한번 새롭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아 물론 나중에 다시 보거나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추가할 때 좀 더 편하게 작성하기 위해 각 내장 함수마다 페이지를 나눌 것이다. forEach 배열 안에 있는 원소들을 갖고 일괄적으로 어느 작업을 하고 싶다면 forEach문을 사.. 2023. 1. 16. [javascript] - Templete Literal es6에서 문자열을 조합할 때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법 파라미터로 이름을 띄워주는 함수가 있고 console에 문자열을 조합하기 위해 +도 그렇고 ""도 여러번 사용을 해서 작업해야 한다. (예시 1) 하지만 ES6의 Templete Literal을 사용하여 구현해보면 좀 더 간결하게 ${}를 사용하여 조합할 수 있다. 예시 1 function hello(name) { console.log("Hello," + name + "!"); } hello("Duhyeon"); // Hello, Duhyeon! ES6 예시 2 function hello(name) { console.log(`Hello, ${name}!`); } hello('Duhyeon'); // Hello, Duhyeon! 2023. 1. 16. [javascript] 05. 함수 1. 함수 함수란? 특정 코드를 하나의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특정 값들의 합을 구하고 싶을 때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const a = 1; const b = 2; const sum = a + b; console.log(sum) // 3 위 코드를 함수로 만들어보겠습니다. function add(a, b){ return a + b; } const sum = add(1,2); console.log(sum); // 3 함수를 만들 때는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며, 함수에서 어떤 값을 받아올지 정해주는데 이를 파라미터(매개변수)라고 부릅니다. 함수 내부에서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의 결과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return을 사용하게 되면 함.. 2023. 1. 16. [javascript] 4. 조건문 1. if 문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은 if문이며, "~~ 하다면 ~~를 해라"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const a = 1; if (a + 1 === 2) { console.log('a + 1 이 2 입니다.'); } 위 코드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a + 1 이 2 입니다.' 만약 특정 조건이 만족할 때와 만족하지 않을 때 다른 코드를 실행해야 한다면if-else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if-else 문 if-else는 "~~ 하다면 ~~ 하고, 그렇지 않다면 ~~ 해라"를 의미합니다. const a = 10; if (a > 15) { console.log('a 가 15 큽니다.'); } else { console.log('a 가 15보다 크지 않습니다.'); } 위 코드의 결과는 다음과 같.. 2023. 1. 16.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