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7

[React] fetch 요청할때 useEffect 유의할 점 영등포 솥돈 { fetch(`소중한 API 주소❤️`) .then(res => res.json()) .then(data => setState(data.dataSet)); }, [여기다가 넣어줘야함 !!]); 저렇게 fetch로 데이터를 요청하게 되면 백엔드분들과 되게 민망한 상황에 마주하게 된다. 두현 님... 요청 그만 좀... 아... 네... 그렇기 때문에 의존성 배열에 API가 들어오게 되면 불러오는 시점을 작성해줘야 한다!! 의존성 배열을 써줘야 할 상황과 안 써줘도 될 상황을 잘 구별해서 백엔드 분들과 머쓱한 상황을 만들지 않도록 노력해 보자 :) 2023. 1. 17.
[React] Input Error 마주했다... 에러....! 마주해 버렸다... 에러와... 하지만 이제 겁내지 않고 이유를 충분히 생각해 보고 차분하게 구글링을 해본다. 먼저 이 오류가 나타나는 시점은 input에 입력을 했을 때 바로 나온다. 왜 그런가 생각을 해봤는데 input value에 undefined가 들어갔을 경우에 대한 처리가 없다는 것과 관련되는 것 같다. 그렇다면 해결법은 ? 간단하다. input의 value가 undefined일 때 ''가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면 된다. 해결...! 2023. 1. 17.
[vscode] 맥 터미널 안열리는 경우 진리의 껐켜.. 그만하고 집 가라는 거지? 얼른 터미널 열고 npm start 해야 하는데 이게 무슨 일인지 터미널이 열리지 않는다... 열렸다가 바로 꺼지는? 그런 현상이 발견 됐는데 바로 구글링을 했다. vscode terminal not working.... 영어가 꽤 많네... 하지만 구글링 해본 결과 vscode가 업데이트되면서 기본 터미널 세팅이 변경된 것 같았다. 업데이트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보자. 일해라 vscode 그럼 어떻게 하냐? Solution vscode에서 Terminal › Integrated › Default Profile: Linux 이 경로에 들어가 준다. 들어가면 애석하게도 뭔가 비어 보인다.... { "workbench.colorTheme": "Default .. 2023. 1. 17.
[AWS] AWS란 ? cloud 란? aws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클라우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말 그대로 구름이다. 컴퓨터가 가상의 공간에 있다고 가정하고 자유롭게 쓰는 것이다. 사실 말이 가상의 공간이지 실제로는 매우 큰 데이터센터가 세계 각국에 있다고 한다...(아마존호 달달) 우리가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구글 드라이브가 있다고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중에 SaaS가 있는데, 클라우드 하드웨어, 운영체제, 프로그램까지 다른 곳에 있고 서비스만 가상공간에서 갖다 쓰는 것이다. 하지만 AWS는 기본적으로 IaaS이다. 즉, 가상의 하드웨어만 제공받으면 그 위에 올라가는 운영체제나 프로그램등 모두 자유롭게 서비스로 이용하는 것이다. cloud 서비스의 장점 1. 확장성 (scalability) .. 2023. 1. 17.
반응형